히스토리아

국채보상운동(國債報償運動) 본문

국사써브노트

국채보상운동(國債報償運動)

엠알페이지 2007. 9. 17. 11:24
SMALL

국채보상운동(國債報償運動)

1907년부터 1908년 사이에 전개된 국권 회복운동의 하나로서 일본에서 들여온 국채를 국민들의 모금으로 갚자는 운동. 1908년에 들어서면서 점차 쇠퇴.

일제 통감부가 그들의 한국 침략에 필요한 시설 및 건축 비용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 한국 정부로 하여금 일본 흥업 은행, 제일 은행 등으로부터 차관으로 돈을 빌려 쓰게 하여, 1907년에는 한국 정부가 부담하게 된 외채가 1천 3백만 원이 되었다.

당시, 한국 정부의 예산 편성을 보면, 세입액이 1천 3백 2십여만 원이고, 세출액이 1천 4백여 만원에 가까워 세출 부족액이 약 80만 원에 달하는 적자 재정 상태였으므로, 1 년 예산액에 해당하는 외채는 그 상환이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국민들 사이에서는 이 거액의 외채를 갚지 못할 경우, 나라를 일본에 빼앗기게 될 것이라는 위기감이일어났으며, 이러한 절박한 상황을 극복하려는 민족 운동으로서 국민들이 국채를 상환하여 나라의 주권을 수호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던 것이다.

1907년 2월 16일, 대구의 광문사 부사장 서상돈의 발의로 사장 김광제와 일단의 유지들이 2월 21일 국채 지원금 수합 사무소를 설치한 것이 국채 보상 운동의 시작이었다.

이 소식이 삽시간에 전국적으로 퍼져 나가, 2월 22일에는 서울에서 국채 보상 기성회가 조직되어 보상금 모금 운동이 본격화되었다. 처음에는 보상금을 마련하는 방법의 하나로 금연 운동이 전개되어 국민 각계 각층에서 이에 호응하였고, 궁중에서도 이에 따랐으며, 정부 각료, 군인들까지 이 운동에 참여하였다.

이 운동은 특히 황성 신문, 대한 매일 신보, 제국 신문, 만세보 등 각종 신문이 적극적으로 캠페인을 벌임으로써 온 국민에게 파급되어 갈 수 있었으며, 각 지방의 도, 군, 면 단위로 참여 단체가 설립되었다. 4월 8일에는 대한 매일 신보사 내에서 유지들이 회합을 가지고, 국채 보상 지원금 총합소를 설치하고, 임원을 선출하였는데, 소장에는 한규설이 선출되었다. 대한 매일 신보에서는 성금을 낸 사람의 이름을 일일이 신문에 게재하여 광고하기도 하였다.

특히, 이 운동에는 하층 계층의 국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여성들의 참여도적극적이었다. 지방에서는 여러 형태의 여성 국채 보상 운동 단체가 설립되었고, 진주에서는 기생들이 진주 애국 부인회를 조직하여 모금 운동을 벌이기도 하였다.

LIST

'국사써브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  (0) 2007.09.17
국학(國學)  (0) 2007.09.17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0) 2007.09.17
국제연합한국임시위원단  (0) 2007.09.17
국자감(國子監)  (0) 2007.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