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토리아
경복궁 본문
경복궁은 4개(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궁궐 중에서
가장 먼저 영건되고 또 가장 규모가 큰 것이다.
궁지(宮址)는 대체로 고려 3경 중의 하나인 남경의 궁궐자리로 인정되는데,
이보다 좀더 남쪽으로 넓은 터에 옮겨 지어진 것 같다.
권중화 등이 결정한 궁궐기지에 대한 당시의 실록기사를 읽어 보면
「고려 숙종 때에 영건된 궁궐터가 좁은 것을 피하여 그 남쪽에 자리를 잡고
서북방 산인 백악을 주산으로 삼아 북좌남향으로 정하니,
국면이 평탄하고 넓으며, 전방(前方)의 여러 산이 모두 앞에서
조회(朝會)하여 읍하는 것 같았다.」
는 말이 있으니,
이 사실로 미루어 경복궁 자리가
옛날 고려의 남경 궁궐터 남쪽에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처음 태조는 천도와 함께 왕 3년 12월부터 제도(諸道)의 정부(丁夫)와
승도(僧徒) 등을 징발하여 공역을 서둔 끝에 4년(1395) 9월에
일단 공사가 완성되었으므로 그 해 10월에 입궐하였다.
궁의 면적은
126,000여 평,
담의 높이는 20자 1치,
둘레 1,813보(1보는 6척)의 규모였고,
남쪽에는 정문인 광화문(光化門),
북쪽에는 신무문(神武門),
동쪽에는 건춘문(建春門),
서쪽에는 영추문(迎秋門)을 각각 배치하였다.
정전인 근정전(勤政殿)은 조하(朝賀)를 받던 곳이며,
역대 국왕 가운데 정종 · 세종 · 단종 · 세조 · 예종 · 성종 · 중종 · 명종 · 선조 등이
이 곳에서 즉위하였다.
궐내에 산재하고 있는 건물 가운데 특히 눈에 띄는 것은 경회루(慶會樓)로서
본래 태조 때에는 작은 누각에 불과하였던 것을 태종 12년에 신축하여
중국의 사신을 접대하는 연회장으로 사용하였다.
그런데 명종 8년(1513) 9월에 내장고(內藏庫)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편전 (便殿)인 사정전(思政殿)으로부터그 안쪽에 있던 경녕전(慶寧殿) · 흠경각(欽敬閣) 등
태조 때 이래의 많은 건물들이 소실되었으므로 이 해 9월에 다시 재건하였다가
그 뒤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때에 완전히 회신(灰燼)되어 버렸다.
이로부터 270여 년 간 경복궁은 황폐한 채로 방치되어 있었는데,
고종 2년(1865)에 정권을 장악한 대원군 이하응(李昰應)이 왕실의 존엄을 높이고
자기의 권세를 국민들에게 과시하기 위하여 경복궁 중건계획을 발표하고
영건도감(營建都監)을 두어 공사에 착수하였다.
이 때 조정에서는 찬반의 의견이 서로 엇갈렸으나
대원군이 반대를 무릅쓰고 중건을 강행하였다.
처음에는 종친들과 관리들을 비롯해서 일반 백성들에게
원납전(願納錢)을 바치게 하여
이것을 공사의 비용에 충당하였으므로 일은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되어 나갔다.
그러나 다음해 3월에 재목장에 큰 불이 일어나 공사가 큰 난관에 봉착하게 되자,
대원군은 원납전을 받아 벼슬을 팔고 성문의 출입시에 통행세를 부과하고,
당백전(當百錢)이라는 악화를 남발하는 등
민중들에 대한 수탈행위를 더욱 심하게 강행하였다.
이리하여 백성들의 원성이 더욱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대원군은 이를 완전히 무시하여 억누르고 마침내 고종 9년(1872)에
조선 말기 건축 ·공예 ·미술의 결정이라고 볼 수 있는
지금의 경복궁 중건에 일단 성공하였다.
그러나 거창한 이 공사는 그 진행 과정에서부터
양반으로부터 일반 백성에 이르기까지
거의 전체 국민의 원망의 대상이 되었으므로
끝내 경제적인 파탄을 초래하여
대원군 정권의 몰락을 자초하는 결과가 되기도 하였다. <서울육백년사>
'국사써브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세유표(經世遺表) (0) | 2007.09.14 |
---|---|
경성방직주식회사(京城紡織株式會社) (0) | 2007.09.12 |
경보(經寶) (0) | 2007.09.12 |
경당(扃堂) (0) | 2007.09.12 |
경국대전(經國大典) (0) | 2007.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