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토리아
고령 장기리 암각화[高靈 場基里 岩刻畫] 본문
고령 장기리 암각화 (高靈 場基里 岩刻畫)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장기리(경상북도 고령군 아래알터길 15-5)에 있는 청동기시대 암각화(바위그림)이다. 고령 장기리 암각화는 1976년 8월 6일 보물 제605호로 지정되었고, 지정 당시 명칭은 고령 양전동 암각화였으며, 2010년 10월 고령 장기리 암각화로 문화재 명칭이 변경되었다.
알터 마을 입구에 있는 높이 3m, 너비 6m의 암벽에 새겨진 바위그림이다. 바위그림은 암각화라고도 하는데, 암각화란 선사시대 사람들이 그들의 생각이나 바람을 커다란 바위 등 성스러운 장소에 새긴 것을 말한다. 전세계적으로 암각화는 북방문화권과 관련된 유적으로, 우리민족의 기원과 이동을 알려주는 자료로 볼 수 있다.
바위그림은 동심원, 십자형, 가면모양 등이 있는데, 동심원은 직경 18∼20㎝의 삼중원으로 총 4개가 있다. 동심원은 태양을 상징하는 것으로 태양신을 표현한 것으로 본다. 십자형은 가로 15㎝, 세로 12㎝의 불분명한 사각형안에 그려져 있어 전(田)자 모양을 하고 있다. 이는 부족사회의 생활권을 표현한 듯하다. 가면모양은 가로 22∼30㎝, 세로 20∼40㎝로 머리카락과 수염같은 털이 묘사되어 있고, 그 안에 이목구비를 파서 사람의 얼굴을 표현한 것으로 부적과 같은 의미로 새긴 듯하다. 상징과 기호를 이용해 제단을 만들고 농경을 위해 태양신에게 소원을 빈 농경사회 신앙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근처에 있는 금산령 석기 유적과 고인돌 유적에서 출토되는 석기와 토기를 통해 청동기시대 후기(B.C. 300∼0)에 만들어진 암각화로 짐작된다. 선사시대 사람들의 신앙과 사회생활 등 선사문화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며, 조각사와 회화사 연구에도 소중한 자료로 평가된다.<주 내용은 국가문화유산포털에서 가져왔음>
'국사써브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석문화(巨石文化) (2) | 2023.10.20 |
---|---|
단양 수양개 유적(丹陽 垂楊介 遺蹟) (0) | 2023.10.19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蔚州 大谷里 盤龜臺 岩刻畫) (0) | 2023.10.14 |
마형대구(馬形帶鉤) 호형대구(虎形帶鉤) (1) | 2023.10.13 |
세형동검 (0) | 2023.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