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토리아

세형동검 본문

국사써브노트

세형동검

엠알페이지 2023. 10. 12. 19:37
SMALL

청동기시대의 동검. 우리 나라 청동기시대의 동검은 전기의 요령식 동검(遼寧式銅劍, 또는 비파형·만주식 동검)과 후기(또는 초기철기시대)의 세형동검(細形銅劍)으로 대별된다.세형동검은 평양지방을 중심으로 하는 한반도 전역에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한국형 동검으로 불린다. 그런데 세형동검은 요령식 동검의 하반부가 길어지고 칼자루가 없으며 허리 양쪽의 팸이 형식상으로 남아 있어 요령식 동검의 영향을 시사해준다.

세형동검은 남한 전역에 걸쳐 고루 분포한다. 그러나 최근 예외적이기는 하지만 요하(遼河)유역의 심양현(瀋陽縣) 정가와자(鄭家窪子)에도 그 존재가 알려지고 있다.


한국식동검이 사용된 연대는 대체로 BC 300년부터라고 추정된다. 즉 서기전 300년경부터 서기전후까지에 해당되는 청동기 후기에는 요령식 동검과는 형식이 다른 세형동검과 잔무늬거울〔精文式細文鏡〕이 나타난 것이다.

세형동검 <출처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설명자료>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에서 출토된 청동기 일괄유물 중 한국식 동검이다. 우리나라의 청동기 시대를 대표하는 유물은 청동검이다. 우리나라 청동검은 전체가 가늘며 길고, 양쪽에 날이 선 형태를 기본적으로 취하고 있다. 또한 칼의 두 구성 부분인 검신(劍身)과 자루(劍把)를 따로 주조하는 것이 우리나라 청동검의 특색이다. 검신 중앙에 굵은 등골뼈인 등대(脊)를 통하게 한 것도 다른 나라의 칼과는 다른 특징이다. 이 형태의 청동검은 주로 우리나라에서 제작되어 전국에 걸쳐 분포하고 있어서 한국식 동검은 일본에서도 약간 출토되고 있다. 한국식 동검이라 불리며, 날이 가늘고 길어 세형동검(細形銅劍)이라고도 한다. 발견된 세 점의 청동검들은 등대의 능각(稜角)이 결입부(抉入部)까지 있는 것, 능각이 기부(基部)까지 이르는 것, 등대에 마연(磨硏)을 가하지 않아 모가 나지 않은 것 등으로 등대 모양이 각각 다르다. 이렇게 등대 모양이 다른 것이 대곡리 청동검의 특징이다. 제일 큰 것과 제일 작은 것은 칼끝 부분의 길이가 짧다. 이 중 제일 큰 것은 등대의 능각이 기부까지 이르러, 청동검 중에서도 늦은 형식을 보여준다. 검신이 가늘고 길며, 양쪽에 날이 서 있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