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토리아

고대 국가 본문

국사써브노트

고대 국가

엠알페이지 2025. 8. 23. 09:12
SMALL

고대국가(古代國家)란 역사상 최초로 나타난 중앙집권(中央集權)적인 통일(統一國家)를 말한다.

이전의 부족국가, 군장국가, 연맹왕국 등은 왕권이 약하고 중앙집권화된 체제가 아니었다.  부족 국가 시대부터 주동 세력이었던 친족 공동체의 장이 우세한 경제적 지위를 가지고 노비와 일반 민중을 확실히 지배하고, 발전된 철기 문화의 기반 위에서 각 지방의 부족장 세력들을 통합하면서 고대국가가 성립되었다. 

고대 국가가 성립되던 시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왕권강화와 중앙집권화
   왕위 세습을 확립하고, 지방 족장 세력을 중앙 귀족으로 흡수한다.
 ② 율령 반포
   율령을 반포하여 중앙 관제와 지방조직을 정비하고, 관리의 복색과 관등을 제정하고 있다.
 ③ 불교 수용
   국민들을 하나로 통합시킬 필요가 있불교를 수용하여 사회통합을 꾀하고 있다. 
   국민들을 하나로 통합시켜 사회통합을 할 필요가 있었는데 그러기 위해서 사상적 통일이 필요했고, 
   그러한 차원에서 고등종교인 불교를 수용하여 널리 전파했다.
 ④ 영토 확장
   국왕이 정복전쟁을 주도하고,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고대국가 기틀이 마련된 시기는 고구려(2세기, 태조왕), 백제(3세기, 고이왕), 신라(4세기 후반, 내물왕)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고대 국가의 성립과 발전이 중국보다 늦었다. 그 원인은, 지금의 대동강 유역에서 고대 국가로 성장하려던 고조선이 한족의 침입으로 붕괴되었고, 그 뒤에도 한의 군현이 분열 정책으로 각 부족을 조종하여 통일 세력의 성립을 방해해 왔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한의 분열 정책과 그 침입 세력에 대한 투쟁 과정은 자연히 한국 고대 국가의 성립 과정이 되었다.

LIST

'국사써브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한(三韓)  (0) 2024.04.30
옥저(沃沮)  (0) 2024.04.29
동예(東濊)  (0) 2024.04.28
초기 고구려  (0) 2024.04.28
부여(夫餘)  (3) 2024.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