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토리아
무늬없는 토기(무문토기.無文土器) 본문
SMALL
청동기시대의 무늬가 없는 토기이다. 일명 ‘무문토기(無文土器)’·‘무늬없는 토기’라고도 한다. 신석기시대 널리 사용되었던 무늬가 있는 토기인 빗살무늬토기에 상대되는 말로 사용된다.
대체로 서기전 2000년을 전후한 시기에 종전의 빗살무늬토기에 외부로부터 새로 들어온 민무늬토기의 제작수법이 더해져 만들어지게 되었다.
청동기 시대의 토기는 가마에서 높은 열로 구웠기 때문에 갈라질 염려가 없고 표면이 매끄러웠으며, 빗살무늬 토기보다 훨씬 단단하다.
끓이는 용도, 저장하는 용도, 음식을 담는 용도 등으로 사용하였다.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인 민무늬 토기는 지역에 따라 모양이 약간씩 다르다. 밑바닥이 편평한 원통 모양의 화분형과 밑바닥이 좁은 팽이형이 기본적인 모양이며, 빛깔은 적갈색이다. 한반도 북부에는 압록강 하류 지역의 미송리형 토기, 압록강 중상류의 공귀리형 토기, 두만강 유역의 덧띠새김무늬토기, 청천강 유역의 겹아가리토기, 대동강 유역의 팽이토기가 전개된다.
한반도 남부에는 청동기시대 전기에는 민무늬토기 문화로 금강 유역의 가락식토기, 그 외 지역의 역삼동식토기와 흔암리식토기가 전개되며, 중기에는 송국리형토기, 후기에는 덧띠(粘土帶口緣)토기, 검은간토기[黑色磨硏土器] 등이 전개된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