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토리아

시골 양조장 본문

역사의 흔적

시골 양조장

엠알페이지 2023. 1. 24. 15:43
SMALL

시골 양조장
 

부엌의 부지깽이도 일어선다는 모내기 날 막걸리는 새참거리에 불과하지만 가장 중하게 챙기는 먹거리였다.일손이 좀익자 싶자 막걸리 타령부터 하는 모내기꾼 눈치에 주인네는배달 자전거를 기다리다 못해 20리 떨어진 면 소재지 양조장을 향해 냅다 뛰어가곤 했다.

농경사회의 틀이 유지되던 70년대 말까지 막걸리는 농민들이나 도시 이농민의 삶 자체였다.생계나 자식 걱정 등으로졸아든 새가슴을 열어주는 막역한 벗이었다.또 말 안듣는 손자놈도 할아버지가 부르면 쪼르르 달려갔다.손자 손에 쥐어준 100원이면 동네 앞 구멍가게에서 주전자에 막걸리 한 되를 사고도 50원이 떨어져 온갖 주전부리가 가능했다.
 
이렇게 막걸리는 농경사회와 동고동락했다.그래서 막걸리를 농주(農酒)라고도 했다.배고프던 60~70년대 막걸리는 출출한 배를 채워주던 요깃거리로도 훌륭했다.

80년대 초반까지 엄청난 수요폭발로 시골에서 술도가(양조장)는 부잣집의 대명사였다.시,군마다 면 단위에 1곳만 허가가 났고 엄격한 공급구역으로 배타적 독점권을 누렸다.당시 시골에서 밀주를 빚다 들키는 날에는 살림이 거덜날만큼중한 범죄행위로 치부됐다.양조장 집 주변에서 키우는 돼지도 윤기가 돌았다.구정물이 전부이던 시절 술 지게미는 영양가 높은 사료였던 셈이다.
 
그러나 세태변화는 어쩔 수 없 듯,번지르르 하던 양조장 지붕 곳곳에 잡초가 돋아난 것은 80년대 후반.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뒤로 추락하기 시작했다는 게 양조업계의 판단이다.
 
이농으로 마을마다 빈집이 늘고 품앗이 대신 트랙터나 콤바인이 농사일을 하면서 양조장에 찬바람이 불었다.논이나 밭둑 새참거리가 막걸리 대신 자장면과 맥주로 대체되는 새로운 풍속도가 자리잡으면서 양조장 문턱에 먼지가 앉았다. 
82년 잘 나가던 양조장을 물려받았던 김동순(金東舜,43,전남 장흥군 장평면)씨는 "86년을 정점으로 매출이 곤두박질했으며 이후 명맥을 유지하다가 96년 고민끝에 전업할 수밖에 없었다"고 털어놨다.그 전 주인들은 "70년대 중반까지 하루에 1말(18L)짜리 막걸리통으로 300여개를 주문받았다. 장정 7명이 자전거 1대에 10개씩 싣고 다녀야 할 정도로눈코 뜰새가 없었다"고 기억했다.

당시 막걸리통은 물통 대용으로 인기였다. 돈 주고도 술통만큼 단단한 물통을 살 수없었기에 술통 수거를 둘러싼 실랑이도 적잖았다.

대한 탁,약주제조중앙회는 "3월말 현재 전국 양조장 수는 996개로 줄었으며,이마저 가내공업 수준으로 명맥을 유지하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70년대 협회에 등록된 회원 양조장은 2,481개가 정점이었다.

막걸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통주다.빛깔 등에 따라 탁주(濁酒, 백주(白酒), 박주(薄酒), 모주(母酒) 등으로 불린다.
들녘에서 일꾼들 창자가 등에 붙을 즈음,멀리서 막걸리통을 싣고 달려오는 양조장 통발 자전거는 시계만큼 정확하게 새참 때를 알려줬다.또 동네잔치나 면민의 날 행사 때 막걸리1말을 내면 마이크로 이름을 불러줄만큼 대단한 기부물품이었다.

이번 한가위에 보름달이 뜬다고 한다.오랜만에 얼굴을 대하는 정다운 친구들과 막걸리 잔을 권하면서 도심의 찌든 때를 털어내고 그리운 시절로 돌아가 보는 것도 좋을 듯 싶다.

광주 남기창기자 kcnam@
서울신문 : 2001-09-29    20 면

 

LIST

'역사의 흔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명공주  (0) 2023.01.24
설씨녀(薛氏女)와 가실(嘉實))  (0) 2023.01.24
김춘추와 문희  (1) 2021.03.12
연주대(戀主臺)  (6) 2011.04.18
관악산 나들이  (4) 2011.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