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428)
히스토리아
그릇 입구 테두리(아가리)의 바깥부분 단면에 원형 또는 타원형, 삼각형의 점토 띠를 덧붙인 민무늬 토기이다. 점토로 띠를 만들어 입구에 붙였기 때문에 '점토대토기(粘土帶土器)'라고도 한다. 청동기 시대 후기에서 철기시대 초기에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중국 동북 지방에 기원을 두고 있는 토기이다. 덧띠 단면 형태에 따라 원형덧띠토기와 삼각형덧띠토기가 있다. 원형덧띠토기는 점토 띠의 단면이 원형인 것으로 원형에 가까운 덧띠를 아가리 바깥에 돌려제작한 것이고, 삼각형덧띠토기는 점토 띠의 단면이 삼각형인 것으로 덧띠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덧띠를 삼각형 모양으로 눌러 덧띠를 만든 것이다. 원형덧띠토기가 먼저 등장하고 삼각형덧띠토기가 나중에 등장한다. 단면 원형의 덧띠토기는 검은간토기 긴목항아리와 함께 무덤에 부..
청동기시대의 무늬가 없는 토기이다. 일명 ‘무문토기(無文土器)’·‘무늬없는 토기’라고도 한다. 신석기시대 널리 사용되었던 무늬가 있는 토기인 빗살무늬토기에 상대되는 말로 사용된다. 대체로 서기전 2000년을 전후한 시기에 종전의 빗살무늬토기에 외부로부터 새로 들어온 민무늬토기의 제작수법이 더해져 만들어지게 되었다. 청동기 시대의 토기는 가마에서 높은 열로 구웠기 때문에 갈라질 염려가 없고 표면이 매끄러웠으며, 빗살무늬 토기보다 훨씬 단단하다. 끓이는 용도, 저장하는 용도, 음식을 담는 용도 등으로 사용하였다.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인 민무늬 토기는 지역에 따라 모양이 약간씩 다르다. 밑바닥이 편평한 원통 모양의 화분형과 밑바닥이 좁은 팽이형이 기본적인 모양이며, 빛깔은 적갈색이다. 한반도 북부에는 ..
덧띠무늬〔突帶文〕토기가 가장 포괄적인 용어로 이에는 새김덧띠무늬 토기(刻目突帶文土器), 새김없는덧띠무늬토기(無刻目突帶文土器), 덧띠새김무늬토기(突帶刻目文土器), 마디모양덧띠무늬토기(節狀突帶文土器) 등이 있다. 신석기 시대 끝 무렵 청동기 시대 초기에 나타난 토기이다. 신석기 시대 말인 기원전 2000년경에 중국의 요령(랴오닝), 길림(지린성), 러시아의 아무르 강과 연해주 지역에서 들어온 덧띠새김무늬 토기 문화가 앞선 빗살무늬 토기 문화와 약 500년간 공존하다가 점차 청동기 시대로 넘어간다. 이 때가 기원전 2000년경에서 기원전 1500년경으로, 한반도 청동기 시대가 본격화된다. 고인돌도 이 무렵 나타나 한반도의 토착 사회를 이루게 된다. 덧띠새김무늬토기는 새로운 양식의 토기로서 청동기 시대 가장 이..
그릇 표면을 빗살같이 길게 이어진 무늬새기개로 누르거나 그어서 점·금·동그라미 등의 기하학무늬를 나타낸 신석기시대의 대표적인 토기이다. ‘즐목문토기(櫛目文土器)’라고도 한다. 또한 겉면에 무늬를 새기고 있기 때문에 ‘유문토기(有文土器)’라고도 하며, 무늬 모양의 특징을 따서 ‘어골문토기(魚骨文土器)’ 또는 ‘기하학문토기(幾何學文土器)’라고도 부른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빗살무늬토기가 출토된 유적의 수는 135개에 달한다. 이들은 한반도 전역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지는 않고 주로 해안가·강가 그리고 도서지방에서 발견된다. 크게는 대동강·한강을 포함한 서해안지역, 낙동강을 포함한 남해안지역, 두만강을 포함한 동해안지역의 3개 지역군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지역군 사이에는 뚜렷한 지역차가 있다. 서..
신석기시대 초기에 사용한 토기로 융기문토기(隆起紋土器)라고도 한다. 덧무늬토기는 토기를 만든 다음 그 위에 또다시 그릇의 표면을 약간 돋아나오게 띠 모양의 흙을 덧붙인 토기를 말한다. 부산동삼동, 양산 신암리, 양양 오산리, 춘성 내평리 등지에서 발굴된바 있다. 특히 부산 동삼동 유적을 발굴하면서부터 알려졌는데, 덧무늬토기는 이곳의 빗살무늬토기층보다 앞서는 가장 아래층에서 무늬없는 토기들과 함께 발굴되었으며, 이로써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신석기시대 토기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덧무늬는 신석기 이른 시기뿐만 아니라 신석기 늦은 시기에서 청동기 이른 시기에 걸치는 민무늬토기에도 베풀어졌는데 이때의 덧무늬는 대개 굵은 편이다. 그리고 남해안지역에서 가장 성행했으며, 전국 각지에 걸쳐 조금씩 만들어 썼던 것..
이른 민무늬 토기 신석기 시대 최초의 토기로서 원시무문토기라고도 하는데, 이는 청동기시대의 무문토기(민무늬토기)와 구별하기 위하여 이른민무늬토기라 한다. 제작 기술이 거칠고 크기가 작다. 운모, 석영 따위의 모래가 섞여 있어 표면이 거칠고 흡수성이 강하다. 주둥이 부분은 대개 직선으로 올라간 것이 많으나 밖으로 벌어진 것도 있다. 함북 웅기, 평북 만포진, 부산시 동삼동 등에서 출토되었다.
[1] 구석기시대 요약 1. 불의 사용 2. 주거지 : 동굴, 막집 3. 무리생활(군집생활) · 이동 생활 4. 수렵, 어로, 채집 경제 5. 도구의 사용 : 뗀석기, 골각기 1) 주먹도끼 : 구석기시대 대표하는 뗀석기. 사냥할 때, 털이나 가죽을 벗길 때, 고기를 자를 때. 땅을 팔 때 사용 2) 긁개 : 동물의 가죽을 벗겨 손질할 때 사용 3) 찌르개 : 사냥할 떼 찌르거나 가죽에 구멍을 낼 때 사용 4) 슴베찌르개 : 후기 구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도구로 주로 사냥에 사용. 5) 찍개 : 사냥이나 나무를 다듬는 데 사용 6) 자르개 : 물건을 자를 때 사용 7) 뚜르개 : 사물을 뚫을 때 사용 8) 밀개 : 조리 시 밀 때 사용 9) 골각기 : 동물의 뼈와 뿔, 이빨 ..
중앙 집권 국가(고대국가) 바로 이전의 국가 형태로서, 초기 철기시대에 철기 문화를 바탕으로 한 연맹왕국이 성립되어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 역사상 두 번째로 등장한 국가 형태이다. 종래 역사학계에서는 최초의 국가 형태를 부족국가(部族國家라고 하였고, 이 부족국가가 몇 개 모여 연맹체를 이룬 것을 부족연맹체라고 하였으나, 그 뒤 부족국가라는 용어 대신에 일반적으로 성읍국가(城邑國家) 혹은 군장국가(君長國家)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서 부족연맹체라는 용어도 연맹왕국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이 연맹왕국은 여러 부족(성읍, 군장)국가들이 하나의 맹주국을 중심으로 좀 느슨한 연맹체를 이룬 형태의 국가이다. 즉 여러 부족(성읍, 군장)국가들의 부족장 중에서 왕을 선출하여 느슨한 연맹체를 이루었다. 따라서 각 부족(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