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국사써브노트 (365)
히스토리아
개국연호(開國年號)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한 해(서기로 1392년)를 개국 원년으로 하는 새로운 연호를 말한다. 이에 따르면 이 연호를 채택한 해(갑오개혁을 단행한 서기 1894년)는 개국 503년이 된다. 이로써 당시 사용하던 청나라 덕종의 연호인 광서(光緖)는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이와 같이 중국 연호를 사용하지 않고 개국 연호와 같은 독자적 연호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중국과의 전통적인 사대 관계를 청산하게 되었음을 뜻한다. 이것은 또한 당시의 상황으로서는, 상대적으로 일본의 한반도 내에서의 우위를 상징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개국공신(開國功臣)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새로운 왕조 성립에 공을 세운 신하들에게 준 공신 칭호.고려의 개국에는 태봉왕(泰封王) 궁예를 물리치고 왕건을 고려 태조로 추대한 사람들을 개국공신이라 하고 3등급으로 나누어 포상하였다. 1등공신에는 홍유(洪儒)·배현경(裴玄慶)·신숭겸(申崇謙)·복지겸(卜智謙) 등이 책록되었고, 2등공신에는 견권(堅權)·권능식(權能寔)·권신(權愼)·염상(廉湘)·김락(金樂)·연주(漣珠)·마난(麻煖)·최응(崔凝)·유금필(庾黔弼)·이총언(李忿彦) 등 100여 명이 책록되어 금은그릇·비단 ·능라(綾羅)·포백(布帛)이 사급되었으며, 3등공신에는 2,000여 명이나 책록되었다.조선은 1392년 8월 개국의 논공행상을 위한 공신도감을 설치하고, 1개월의 심의 끝에 공신 44명을 가려 이를 1·2..
강화학파(江華學派) 정제두를 시조로 하여 강화도 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된 독특한 학문적 경향을 가진 학파. 흔히 강화학파의 학문적 경향은 양명학으로 이해된다. (중국의 양명학과는 다르며 단순히 양명학에 그치지 않는다.) 양명학의 전래 시기는 분명하지 않으나, 16 세기 말 이미 양명학의 저술인 전습록(傳習綠)이 전해졌고, 이황이 이에 대한 비판을 한 바 있었다. 성리학의 열기로 그 연구가 뚜렷하지는 못하였으나 성리학의 교조성에 반발한 일부 학자들은 이에 관심을 보였으니, 남언경(南彦經), 이항복(李恒福), 이정구(李廷龜), 신흠(申欽), 최명길(崔鳴吉), 장유(張維) 등이 그들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드러내 놓고 양명학을 논하지는 못하고 은밀히 전승하였는데, 그것은 양명학이 정통 성리학자들로부터 사문난적으로..
[운요호 사건(운양호사건 雲揚號事件)]1875년(고종 12) 9월 20일 일본 군함 운요호가 조선의 강화해협에 불법침입하여 포격을 가하고 살육·방화·약탈을 자행한 사건.운양호사건이라고도 한다.메이지유신(明治維新)으로 근대화한 일본은 대륙침략을 위한 첫 단계로 정한론(征韓論)을 내세우며, 한반도를 침략할 기회만을 노리고 있었다.한편, 조선정부에도 그토록 강경한 쇄국양이정책(鎖國壤夷政策)을 고수하던 대원군이 실각하고, 1873년 12월부터 고종의 친정(親政)이 시작되면서, 민씨척족세력이 집권하기에 이르렀다. 이는 한반도 침략의 발판을 마련하려는 일본에게는 고무적 현상이 아닐 수 없었다. 이러한 정세 하에서 일본은 운요호사건을 터뜨린 것이다.운요호포격사건은 근대제국주의적 영토팽창주의정책을 추구하고 있던 일본의..
[운요호 사건(운양호사건 雲揚號事件)]1875년(고종 12) 9월 20일 일본 군함 운요호가 조선의 강화해협에 불법침입하여 포격을 가하고 살육·방화·약탈을 자행한 사건.운양호사건이라고도 한다.메이지유신(明治維新)으로 근대화한 일본은 대륙침략을 위한 첫 단계로 정한론(征韓論)을 내세우며, 한반도를 침략할 기회만을 노리고 있었다.한편, 조선정부에도 그토록 강경한 쇄국양이정책(鎖國壤夷政策)을 고수하던 대원군이 실각하고, 1873년 12월부터 고종의 친정(親政)이 시작되면서, 민씨척족세력이 집권하기에 이르렀다. 이는 한반도 침략의 발판을 마련하려는 일본에게는 고무적 현상이 아닐 수 없었다. 이러한 정세 하에서 일본은 운요호사건을 터뜨린 것이다.운요호포격사건은 근대제국주의적 영토팽창주의정책을 추구하고 있던 일본의..
강조의정변(康兆의政變)목종의 모후인 천추 태후와 김치양(金致陽)이 불륜관계를 맺고 왕위를 빼앗으려 하자 강조가 군사를 일으켜 김치양 일파를 제거하고 목종을 폐위한 사건(1009년 고려 목종 12).
강서고분(江西古墳) 강서3묘(江西三墓)[강서고분(江西古墳)]평안남도 강서군 강서면 삼묘리에 있다.규모의 차이에 따라 대묘,중묘,소묘로 이름지었다.분구의 크기는 각각 다르나 모두가 원형분이고, 묘실은 질 좋은 화강암의 판석으로 축조하였으며,방형의 널방과 널길로 이루어진 외방무덤이나, 천장가구법은 각각 다르다. 벽화는 돌벽에 직접 그렸는데,네 벽에는 사신도(백호도,현무도,주작도,청룡도)가 크게 그려져 있다.[강서3묘(江西三墓)]돌칸흙무덤 형식의 3기의 고구려 고분. 방봉토분 유적으로 평안남도 남포시 강서구역에 있음.강서대묘(江西大墓) : 고구려시대 사신도(四神圖) 중심의 벽화고분으로 강서삼묘 중 가장 큼.강서중묘(江西中墓) : 고구려시대 사신도(四神圖) 중심의 벽화고분으로 강서삼묘 중의 하나. 강서소묘(江西..
강상(경강상인), 송상(개성상인), 만상, 내상, 유상[경강상인(京江商人)]조선 후기 한강변을 중심으로 대동미 운수업 및 각종 상업활동에 종사하였던 상인.시전상에서는 '강상'이라고 표기됨. 그들의 주요 상행위는 정부의 세곡과 양반지주층의 소작료의 운반이었다.[송상(松商)]개성상인. 청과의 무역에서 개성, 평양, 의주 상인들이 중요한 구실을 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송상이라고 불리우는 개성상인들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그들은 송방이라는 조직을 두고 활동했으며 송도사개부기라는 독특한 상품거래 장부를 고안하여 썼다. 송방(松房): 조선시대 개성 상인들이 경영하던 상점을 일컫는 말.[만상(灣商)] 18세기 말 이후 의주지방을 중심으로 대(對)중국 무역을 하였던 상인들의 총칭. 생산력이 증가하면서 상업이 발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