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국사써브노트 (365)
히스토리아
9서당(九誓幢) 통일신라의 중앙군의 9개 군대 편제. 583년(진평왕 5)부터 역대로 증설되어 687년(효소왕 7)에 완성된 군단(軍團)이다. 통일 이후 삼국 통합이라는 명분을 살리기 위해 백제와 고구려 유민, 그리고 말갈족까지 포괄하여 조직했으며, 국왕에 대한 서맹(誓盟)을 다하는 군대라는 의미에서 이름을 서당(誓幢)이라고 부른 듯하다.신라인으로 구성된 3개의 부대를 비롯하여 3개의 고구려인 부대, 1개의 백제인 부대, 2개의 말갈의 귀속민(歸屬民)과 포로 중에서 용감한 자를 뽑아 조직한 부대이다. 수도방위군일 뿐만 아니라 여러 국가들의 지배계층을 구서당의 상급군관으로 조직하고, 이를 통해 각국의 주민들을 포섭하려 하였다.10정(十停)통일신라 때 지방의 각 주(九州)에 배치하였던 군부대의 명칭. 일명 ..
구미위원부(歐美委員部)1919년 미국 워싱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대구미 외교 담당기관. 1919년 5월에 대한민국 국무총리인 이승만이 한성정부의 집정관 총재자격으로 워싱턴에 집정관총재 사무소를 설치하여 대미 외교업무를 수행하였다.
교종(敎宗) [1]불교에서 교종이란 경전(부처의 가르침)을 중시하는 종파들을 말하는데, 우리 나라 초기의 불교는 주로 대승불교의 교종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통일신라 시대에는 여러 고승들에 의한 경전 연구의 심화로 특색있는 종파들이 성립되기도 하였다. 계율종(자장), 법성종(원효), 화엄종(의상), 열반종(보덕), 법상종(진표) 등 이른 바 5교가 그것이다. 교종은 경전과 함께 의식(여러 가지 종교 행사)도 중시하는데, 이에 따라 왕실, 국가의 안녕과 개인의 복을 비는 각종 의식이 강조되는 측면이 있었다. 이러한 특색 때문에 교종은 광범한 세속적 지지 기반을 확보함과 동시에, 특히 왕실, 귀족들에 의하여 체제 유지라는 차원에서도 깊이 숭상되었다. 통일 신라 시대나 고려 중기의 왕실, 귀족들에 의하여 ..
교조신원운동(敎祖伸寃運動) 1864년(고종 1년)에 사형을 당한 동학 교조 최제우의 죄명을 벗기고 억울함을 풀어서 종교의 자유를 얻고자 동학 교도들이 벌인 운동으로 모두 세 차례에 걸쳐 전개되었다. 이것은 동학 농민 운동이 일어나기 직전의 일로서 동학 교세의 확대을 보여 준다. 제 1 차는 1892년(고종 29년) 전북 삼례에서 수천명의 신도들이 모여, 교조의 억울한 누명을 벗겨 줄 것과 동학의 공인 및 탐관 오리를 처벌해 줄 것을 전라 감사에게 요청하였으나 실패하였다.제 2 차는 그 이듬해(1893, 고종 30년) 2월 박광호, 손병희 등 40여명이 경복궁 광화문 앞에 엎드려 교조 신원을 호소하는 복합 상소(伏閤上疏)를 하였으나 역시 실패하였다. 제 3 차는 같은 해(1893, 고종 30년) 3월, 전..
교정청(校正廳)조선시대 서적 편찬시 교정,보완을 위해 설치하였던 임시기구. 1470년(성종1)에 경국대전을 최종 검토하기 위해 처음 설치되었다. 교정관으로는 정창손.신숙주.한명회.구치관.최항등이 임명됨.
교정도감(敎定都監), 정방(政房), 서방(書房), 도방(都房) 교정별감(敎定別監) 교정도감(敎定都監) 고려 무신 집권시대의 최고 권력 기관. 교정소(敎定所)라고도 한다.최충헌이 설치한 특수 정치 기구로서 최씨 정권의 최고 권력 기관이었다. 1209년(희종 5)에 최충헌(崔忠獻)이 자신을 죽이려는 모의를 발각하고 모의자들을 처벌하기 위해 설치하였는데, 이후 최씨정권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기구로 서무를 관장하고 지시․명령을 내리는 총괄기구 역할을 하였다. 또 관원들의 규찰업무, 인사행정, 세금에 관한 업무 등을 담당하였으며, 장(長)은 교정별감(敎定別監)으로 무인집권자가 담당하였다. 최씨정권이 무너진 이후에도 무인정권을 뒷받침해 주었으며, 원종 때 무인정권이 몰락하면서 없어졌다. 그 책임자인 교정별감(敎定..
교육입국조서1895년 2월2일에 고종이 교칙으로 발표한 교육에 관한 특별조서로서 교육조서라고도 한다. 교육에 의한 입국의 의지를 천명한 것으로 근대식 학제를 성립시킬 수 있는 기점을 마련하였다.